무고죄 성립요건 : 누굴 성범죄자로 만들려고

성범죄로 억울하게 몰렸다면 무고죄로 맞대응할 수 있을까요? 무고죄 성립요건과 증거 수집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Jul 31, 2025
무고죄 성립요건 : 누굴 성범죄자로 만들려고

성범죄 혐의를 받는 순간 억울하고 답답한 마음이 가장 큽니다.

내가 하지도 않은 일로 성범죄자로 몰았다면 무고로 맞대응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서 시작해 무고죄 성립요건과 대응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억울하게 성범죄자로 몰렸을 때 가장 먼저 드는 생각 : 무고로 맞대응 할 수 있나? 👀

성범죄 피의자들은 흔히 무혐의만 나오면 바로 무고 고소 가능하다 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무혐의 결정 = 무고 성립 아님입니다.

  • 피해자가 허위임을 알면서 신고했는지 가 핵심

  • 피해자가 사실이라고 믿고 신고했다면 무고로 보기 어려움

  • 성급한 고소는 오히려 불리할 수 있음

무고죄, 쉽게 성립되지 않는 이유부터 알아야 한다❗❗

형법 제156조(무고죄)

타인을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허위 사실을 신고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무고죄 성립요건은 아래 3가지입니다.

성립요건

설명

1. 허위 사실 신고

사실과 다른 내용을 신고해야 함

2. 허위임을 알고 신고

피해자가 허위임을 인식한 상태여야 함

3. 형사처분·징계처분 목적

타인을 처벌하게 하려는 목적이 있어야 함

➡️ 위 요건 중 하나라도 빠지면 무고죄는 성립되지 않습니다.

성범죄 사건에서 무고 입증이 특히 어려운 이유

성범죄 사건은 피해자의 진술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무고 입증이 쉽지 않습니다.

  • 피해자가 주관적으로 사실이라 믿고 신고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 피해자가 일부 과장했더라도 허위 의도를 입증하기 어려움

  • 무혐의·불기소만으로는 피해자가 거짓임을 입증할 수 없음

무고를 주장하려면 반드시 체크해야 할 증거와 정황

무고를 주장하려면 피해자의 신고가 허위임을 보여줄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합니다.

✅ 무고 입증을 위한 핵심 체크포인트

  • 피해자 진술과 배치되는 CCTV·위치기록·메시지 기록

  • 피해자의 허위신고 의도를 보여줄 정황 (금전 요구, 보복성 발언 등)

  • 초기 조사 진술의 일관성 (수사 초기부터 철저히 준비해야 함)

💥 성급한 무고 고소는 역공당할 수 있다

무고 성립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히 고소하면 오히려 불리합니다.

잘못된 대응

발생할 수 있는 결과

무혐의 결정 후 곧바로 무고 고소

피해자 맞대응(명예훼손, 협박) 가능성 ↑

증거 확보 없이 무고 주장

무고 불성립 → 피의자 신분 더 길어짐

전문가와 함께해야만 하는 이유

  • 😢 실패 사례: 무혐의 후 곧바로 무고 고소했지만 피해자가 허위 의도를 알았다는 증거 부족 → 무고 불성립, 피의자 신분 유지

  • ☺ 성공 사례: 변호사와 함께 초기부터 증거를 확보하고 피해자의 동기·정황을 입증 → 무고 성립, 피해자 유죄 판결

성범죄 사건은 사회적 파장이 크기 때문에 전문가와 함께 전략적 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 이현의 실제 사례로 확인하기(클릭)

FAQ

Q. 성범죄 무혐의 결정이 나면 바로 무고죄 고소가 가능한가요?

A. 아닙니다. 무혐의 결정이 났다고 해서 바로 무고죄가 성립하는 건 아닙니다. 무고죄는 신고자가 허위임을 ‘인식하고도’ 형사처분을 목적으로 신고한 경우에만 성립하므로, 단순히 혐의가 없는 것과는 별개입니다. 피해자의 인식과 목적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Q. 성범죄 무고죄와 관련된 법적 절차를 알려주세요

성범죄 절차: 고소 또는 인지 → 수사 → 검찰 송치 → 기소/불기소 → 재판

무고죄 절차: 무혐의 또는 불기소 결정 후 → 별도로 무고 고소 가능 → 수사 → 기소 여부 판단

※ 무고죄는 허위 신고 형사처분 목적이 입증되어야 성립 가능

Q. 성급하게 무고 고소하면 왜 불리해지나요?

A. 증거 없이 고소할 경우 역고소 위험이 커집니다. 무고죄 성립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소를 진행하면, 상대방이 오히려 명예훼손, 무고, 협박죄 등으로 맞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피의자 신분이 유지되거나 연장될 수 있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무고를 주장하려면 요건충족 → 증거 확보 → 전략 이 답이다❗

무고죄는 쉽게 성립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충분한 증거와 전략을 세운다면 가능성이 있습니다.

✔ 무혐의만으로는 부족

✔피해자의 허위 인식과 목적을 입증할 증거 확보 필요

✔수사 초기부터 변호사와 함께 사건을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억울하게 성범죄자로 몰린 상황이라면 혼자 대응하지 말고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Share article
법률적 도움이 필요하신 분은 내용을 남겨주세요.
검토 후 회신드리겠습니다 :)

빠른 답변을 원하신다면
📞 1566-8858

법무법인(유한) 이현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