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명의도 처벌 대상이 되나요? 부동산실명법 위반

부동산실명법 위반 혐의를 받았다면? 위반 유형, 처벌 수위, 무죄·감경 전략, 변호사 조력까지 정리했습니다.
Aug 11, 2025
가족 명의도 처벌 대상이 되나요? 부동산실명법 위반

“가족 명의로 부동산을 사는 게 왜 문제인지 몰랐습니다.”

부동산실명법은 부동산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부동산을 실소유자 명의로 등기하도록 규정합니다. 하지만 세금 절감이나 채권 회피 목적 등으로 명의를 빌리면, 의도와 상관없이 법 위반이 됩니다. 최근에는 가족·지인 명의까지도 엄격히 단속하고 있어, 단순한 편의 차원에서 한 거래도 수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부동산실명법의 기본 개념부터 위반 유형, 처벌 수위, 감경 가능성, 변호사 조력의 필요성까지 피의자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부동산실명법이란

부동산실명법(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은 부동산을 거래하거나 소유할 때 반드시 실소유자 명의로 등기하도록 한 법입니다. 이 법은 명의신탁을 통한 투기, 탈세, 재산 은닉을 방지하고 부동산 거래 질서를 지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2. 부동산실명법 위반에 해당하는 경우

  • 타인 명의부동산을 매매·증여·상속 등기한 경우

  • 채권·세금 회피를 위해 명의를 이전한 경우

  • 가족·지인 명의를 빌려 부동산을 매수한 경우

  • 명의신탁을 전제로 한 계약을 체결한 경우

🔗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보기


3. 처벌 수위

  • 형사처벌: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 원 이하의 벌금

  • 과징금: 부동산 가액의 30% 범위 내

  • 명의신탁 무효: 실권리자가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고, 해당 부동산은 명의자 소유로 처리


4. 피의자가 오해하기 쉬운 부분

▷ “가족 명의니까 괜찮은 줄 알았다”

부부·직계존비속 간 명의신탁도 원칙적으로 위법입니다. 예외는 상속, 일부 증여, 종중재산 등 제한적입니다.

▷ “세금 절감을 위해서…”

세금을 줄이기 위해 명의를 빌린 경우도 법 위반이며, 세무조사와 별도의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실제 소유자라는 증거가 없으니 괜찮다”

명의신탁 약정, 자금 흐름, 부동산 관리·사용 내역이 입증되면 실소유자로 판단됩니다.


5. 무죄 또는 감경 가능성

  • 법에서 정한 예외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부부 공유, 상속재산 관리 등)

  • 고의성 부족을 입증한 경우

  • 자진 신고 또는 시정 조치 후 과징금 납부

  • 범행 경위, 목적, 피해 정도 등을 고려한 선처 요청


6. 변호사 필요성

  • 수사 초기 진술 전략: 불필요한 자백·모순 진술 방지

  • 예외 적용 여부 검토: 법적 요건 충족 시 무죄 주장 가능

  • 증거 수집과 반박 자료 준비: 자금 출처, 계약 경위 등 입증

  • 형량 감경 전략: 반성문, 합의, 과징금 납부 등 양형 자료 준비


7. 자주 묻는 질문(FAQ)

Q. 부동산실명법 위반이 확정되면 소유권은 어떻게 되나요?

A. 명의신탁은 무효이며, 법적으로 명의자 소유로 봅니다.

Q. 가족 간 명의신탁도 처벌받나요?

A. 예외 사유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처벌 대상입니다.

Q. 과징금과 벌금이 같이 부과될 수 있나요?

A. 네, 형사처벌과 별개로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실명법 위반은 ‘몰랐다’는 이유로 면책되지 않습니다. 초기에 정확한 법률 검토 없이 대응하면, 처벌 수위가 높아지고 소유권까지 잃을 수 있습니다.

Share article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내용을 남겨주세요.
검토 후 회신드리겠습니다!

빠른 답변을 원하신다면
📞 1566-8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