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집행 관할권, 외국판결 집행 준비 핵심 포인트

국제재판관할권, 외국에서 받은 판결이나 중재판정을 한국에서 강제집행하려면 핵심입니다.
Jul 30, 2025
국제집행 관할권, 외국판결 집행 준비 핵심 포인트

외국에서 받은 판결, 우리나라에서 집행할 수 있나요?

한국 법원의 판결을 외국인 재산에 집행할 수 있나요?

국제거래와 해외 투자. 해외 소송이 늘어나면서 이런 문의를 많이 하십니다.

이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바로 국제집행 관할권입니다. 관할권을 인정받지 못하면 외국판결의 집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1️⃣ 국제집행이란 무엇인가?

국제집행은 한 나라 법원이나 중재기관이 내린 판결을 다른 나라에서 승인받아 강제로 실현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 외국 법원의 판결 집행: 예) 미국 법원 판결을 한국에서 집행

  • 외국 중재판정 집행: 국제중재기관의 판정을 해외에서 집행

👉 이 과정에서 국제집행 관할권이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됩니다. 외국 법원의 판결이라도 관할권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한국에서 집행이 불가능합니다.

2️⃣ 국제집행 관할권이란?

국제집행 관할권은 외국 법원이 해당 사건을 적법하게 재판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는지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민사소송법 제217조(외국판결 승인 요건)는 다음과 같이 규정합니다.

“대한민국의 법령 또는 조약에 따른 국제재판관할의 원칙상 그 외국 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이 인정될 것.”

즉,

  • 외국 법원이 사건과 충분한 관련성이 있어야 하고

  • 적법한 절차를 통해 판결을 내렸다는 것이 인정되어야 합니다.

3️⃣ 외국판결이 한국에서 집행되기 위한 요건

외국판결을 한국에서 강제집행하려면 ‘집행판결’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민사집행법 제26조). 이 집행판결은 외국판결의 옳고 그름을 다시 심사하지 않고 아래 요건을 충족하는지만 확인합니다.

  1. 국제재판관할권 인정: 외국 법원이 해당 사건을 재판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는가?

  2. 적법한 송달: 피고가 소장을 제대로 전달받아 방어권을 행사할 기회를 가졌는가?

  3. 공서양속 위반 금지: 외국판결이 대한민국의 선량한 풍속이나 사회질서에 반하지 않는가?

  4. 상호보증 요건: 그 외국도 한국 법원의 판결을 승인·집행해 줄 것(상호주의)

👉 이 중 첫 번째 요건이 바로 국제집행 관할권입니다.

4️⃣ 국제집행 관할권이 부정되는 사례

  • 원고, 피고 모두 한국과 연고가 없고 사건도 한국과 무관한 외국 법원의 판결

  • 외국 법원이 사건과 관련성이 없는 상태에서 임의로 판결을 내린 경우

이런 경우 한국 법원은 국제재판관할권을 인정하지 않아 집행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사건이 한국과 실질적 관련이 있으면 국제재판관할권이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 한국 부동산 관련 분쟁, 한국에서 계약이 체결된 사건 등

5️⃣ 외국 중재판정의 국제집행

외국 중재판정을 집행할 때는 뉴욕협약(외국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이 적용됩니다.

  • 협약에 가입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제중재판정을 승인·집행해 줍니다.

  • 다만, 중재합의가 무효이거나 방어권 침해, 중재절차의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집행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 법원 판결보다 국제중재판정이 상대적으로 집행이 용이합니다.

6️⃣ 국제집행의 한계와 현실적 어려움

국제집행은 법적으로 가능해도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 국가주권 문제: 각국은 자신의 강제집행권을 독점하므로 외국판결 승인에 신중합니다.

  • 공서양속 위반: 외국판결이 해당 국가 법질서에 어긋나면 집행 거부

  • 채무자 재산 확보의 어려움: 해외에 있는 채무자의 재산을 추적하고 집행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 소요

7️⃣ 국제집행 실무 팁 -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1. 국제재판관할권 확인부터: 외국 법원이 적법한 관할권을 갖추었는지 미리 체크

  2. 송달 절차 적법성 확보: 피고에게 소장이 적법하게 송달되었는지 반드시 증명할 수 있어야 함

  3. 상호보증 요건 검토: 해당 국가가 한국 판결도 집행해 줄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

  4. 국제집행 경험 있는 변호사 선임: 외국 판결 승인 및 집행은 법리와 해외 절차에 익숙해야 유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외국 법원 판결이 있으면 바로 한국에서 강제집행할 수 있나요?

→ 아닙니다. 반드시 한국 법원에서 ‘집행판결’을 받아야 집행 가능합니다.

Q. 국제중재판정은 바로 집행할 수 있나요?

→ 뉴욕협약 가입국이면 승인·집행 절차가 간소화되지만, 여전히 한국 법원의 승인 절차가 필요합니다.

Q. 국제집행을 빨리 하려면 무엇이 중요할까요?

→ 판결이 확정되자마자 채무자의 한국 내 재산을 신속히 파악하고, 관할권·송달 요건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집행 관할권 관련 상담이 필요하신가요?

저희 법무법인은 국제집행, 외국판결 승인·집행 사건을 다수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신속하고 안전한 절차를 제공합니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