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정보유출이란 무엇인가
1-1 개인정보의 정의와 종류
✅ 개인정보 보호법은 개인정보를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해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라고 정의합니다.
일반 정보: 이름, 연락처, 주소
민감 정보: 건강, 사상·종교, 생체정보
고유 식별정보: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등
금융 정보: 계좌번호, 카드번호
1-2 개인정보 유출의 법적 의미
◈ 개인정보 유출이란 개인정보처리자 등의 관리·통제권을 벗어나 권한 없는 자가 접근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춘천지방법원 2019).
즉, 단순 노출과 달리, 통제 불능 상태에 놓이면 ‘유출’로 인정됩니다.
2. 개인정보유출 피해자가 겪는 문제
보이스 피싱, 대출사기, 명의도용
신용등급 하락 및 금융거래 제한
스팸, 광고 전화·문자
정신적 충격, 불안, 사회적 낙인
3. 개인정보유출 시 피해자가 할 수 있는 대응 방법
즉시 신고 및 통지 요구:
개인정보처리자는 유출 사실을 알게 된 즉시 72시간 이내 통지해야 합니다(개인정보 보호법 제34조, 시행령 제39조).
피해자는 통지를 받지 못했다면 적극적으로 요구할 수 있습니다.
피해 확산 방지 조치:
은행·카드사에 연락해 사용 제한 신청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한 명의도용 차단
증거 수집 및 보존:
문자, 이메일, 거래 내역 캡처 및 보관
기관 신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신고
4. 개인정보 보호법상 권리와 법적 구제
4-1 주요 권리
✅ 유출 통지권: 개인정보처리자가 피해자에게 즉시 통보할 의무(제34조).
✅ 손해배상청구권: 개인정보 위반으로 손해 발생 시 배상 청구 가능(제39조 제1항).
✅ 법정손해배상청구권: 고의·과실로 유출된 경우, 최대 300만 원까지 배상 청구 가능(제39조의2 제1항).
✅ 주민등록번호 변경 신청권: 유출 시 피해자는 주민등록번호 변경을 요구할 권리가 인정됨(대법원 2013).
4-2 손해배상 · 위자료 청구
정신적 손해도 위자료 청구 가능
개별 민사소송, 분쟁 조정위 신청 가능
4-3 형사고소 가능성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정보통신망법 위반, 사기죄, 컴퓨터등사용사기죄 등 적용 가능
5. 개인정보유출 사건에서 변호사의 역할
피해 입증 자료 정리
손해배상 소송, 분쟁조정 신청 대리
형사고소 절차 대리
가해 기업과의 합의 협상
6. 이런 점은 꼭 알아두세요!
유출 사실은 기업이 은폐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피해자가 직접 권리 행사해야 합니다.
현행법상 집단소송은 금지·중지 청구에 한정됩니다.
손해배상 청구는 개별 소송 또는 선정당사자 제도를 통한 공동소송 형태로 진행됩니다.
7. FAQ
Q1. 실제 피해가 없더라도 소송이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개인정보 유출은 정신적 손해도 인정되며, 위자료 청구가 가능합니다.
Q2. 유출된 개인정보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나요?
→ 수사기관의 디지털 포렌식, 통신 조회 절차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Q3. 집단소송으로 진행할 수 있나요?
→ 손해배상은 집단소송 불가. 다만 선정당사자 제도를 통해 공동소송은 가능합니다.
인정보유출은 단순 사건이 아니라 법적 분쟁으로 번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입니다. 피해자는 신속히 신고하고, 증거를 보존하며, 법적 권리를 행사해야 합니다. 법무법인 이현은 개인정보유출 사건에서 다수의 성공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전문가와 상담하여 권리를 지키시길 권해드립니다.
검토 후 회신드리겠습니다!
빠른 답변을 원하신다면
📞 1566-8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