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을 하다 보면 피의자분들이 가장 먼저 하시는 말입니다. “그냥 급한 사람 도와주려 했을 뿐인데, 무등록 영업이라고 하네요.”, “이자율이 조금 높긴 했지만 이렇게까지 문제가 될 줄은 몰랐습니다.” 대부업법 위반은 단순히 민사 문제가 아니라, 형사처벌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사안입니다.
대부업법, 왜 문제 될까?
대부업법은 서민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법으로, 대부업 등록·이자율 제한·추심 방법 등을 엄격히 규제합니다. 이를 위반하면 곧바로 형사처벌 대상이 되며, 경우에 따라 실형까지 선고될 수 있습니다.
주요 위반 유형과 처벌 수위
무등록 영업
등록 없이 대부업을 영위한 경우 →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불법 고금리
법정 최고 이자율(현재 연 20%)을 초과해 대출 →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불법 추심
폭행·협박·심야·반복 전화 등으로 채무자 괴롭힘 →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 단순히 돈을 빌려주었다는 이유로 시작된 일이지만, 세 가지 위반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보기
수사와 재판에서 자주 다투는 쟁점
“이게 대부업에 해당하는 행위인가?”
“실제로 이자를 초과해서 받았는지?”
“추심 과정에서 협박이나 폭행이 있었는지?”
“고의로 법을 위반했는지, 단순한 착오였는지?”
이 쟁점에 따라 벌금형으로 끝날지, 집행유예나 실형으로 이어질지가 갈리게 됩니다.
감형 가능 포인트
초범인지 여부
피해자와의 합의 여부
불법 이자의 규모, 추심 방식의 정도
영업 목적이 아닌 일시적 행위였는지 여부
👉 이런 요소들을 입증하면, 실형 대신 벌금형이나 집행유예로 끝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립니다.
왜 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할까?
대부업법 위반은 단순히 사실인정만으로 끝나지 않고, 법적 해석과 양형 사유가 핵심입니다.
변호사는 수사 단계부터 “영업 목적이 아니었다”, “이자율 산정에 착오가 있었다”, “추심이 정당 범위였다”는 점을 강조해 처벌 수위를 낮추는 전략을 세웁니다.
또한 피해자와의 합의, 불법 이자 반환 등을 통해 선처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무등록으로 돈을 빌려줬는데도 처벌되나요?
A. 네. 반복적으로 금전을 대여하고 이자를 받았다면 영업성이 인정되어 무등록 대부업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Q. 법정이자율을 초과해 받으면 무조건 징역형인가요?
A. 아닙니다. 초과 금액·횟수·피해 정도에 따라 벌금형, 집행유예 등 다양한 양형이 가능합니다.
Q. 피해자와 합의하면 형사처벌을 피할 수 있나요?
A. 합의는 양형에 중요한 요소가 되지만, 위반 사실 자체가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처벌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대부업법 위반은 “잠깐 돈 빌려준 것”에서 시작해도, 형사사건으로 번져 인생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입니다. 하지만 모든 사안이 똑같은 결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혹시 지금도 “나도 실형까지 나올까” 두려움에 잠 못 이루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지금이 바로 확인해야 할 순간입니다. 수사 단계에서부터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방법, 전문가와 함께 검토해 보세요.
검토 후 회신드리겠습니다!
빠른 답변을 원하신다면
📞 1566-8858